-
고객사 소개
대한민국 외교부는 국가의 외교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기관으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고 국민의 안전과 이익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외교부는 다자외교, 양자관계, 경제 외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외교부는 디지털 전환을 통해 외교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 분석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여 외교 정책을 보다 과학적으로 수립하고,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이버 외교를 통해 국제 사회의 다양한 이슈에 적극 대응하며, 온라인 외교 행사와 회의를 통해 글로벌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외교부의 디지털 혁신은 변화하는 국제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며, 미래 지향적인 외교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더욱 스마트하고 효과적인 외교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
배경
외교부는 재외공관에서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정보자원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관리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해 클라우드 기반으로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습니다. 각 공관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던 시스템은 정보의 중복과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통합된 관리를 통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에 활용할 수 있는 물리 자원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 효율적인 자원 배분이 필수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교부는 한정된 체류 기간 내에 클라우드 통합업무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졌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멀티 리전 연계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각 재외공관의 정보자원을 통합하고, 동시에 안정성과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습니다. -
목표
- 아주 거점 재외공관용 클라우드 통합업무관리시스템 구축
- 외교부내 유관시스템 연계
- 미주 거점 재외공관용 클라우드 통합업무관리시스템 구축
-
솔루션 및 기대효과
- 국내에서 하드웨어에 솔루션을 패키징하여 현지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 최소한의 물리 자원을 활용하여 솔루션을 구성하기 위해 Controller와 Compute Node, Storage Node 혼합 구성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광주센터에 기 도입된 IaaS 플랫폼을 재외공관 환경에 맞춰 적용
- 현지 환경을 고려하여 유지보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패키징화 함
- 2차 사업에서 1차 사업에서 구축한 클라우드 통합업무관리시스템 증설
- 컨테이너 통합관리 플랫폼 도입
-
결과
외교부는 일원화된 통합업무관리시스템을 통해 기존 재외공관의 개별 시스템 운영으로 발생하는 정보자원의 비효율성을 개선했습니다.
본부와 재외공관의 이원화된 포털을 통합하여, 멀티 데이터센터를 하나의 논리적 데이터센터로 운영함으로써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유럽, 미국 등 글로벌 멀티 리전 연계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